본문 바로가기
부가부의 주식노트

트럼프 대통령 무슨 생각일까? 부가부의 미국 주식 예측

by bugabu 2025. 4. 11.

지금 보시는 글은 100퍼센트 틀릴 수도 있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1. 트럼프는 왜 금리 인하에 목소리를 내고있나?

고금리 상태에서는 기업들이 대출을 받기가 부담되기 때문에 성장이 어렵습니다. 금리가 인하되어야 기업이든 정부든 무언가 해볼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집니다. 트럼프는 운이 안 좋게도 금리가 상승한 상태에서 대통령직을 넘겨받게 됩니다. 그런데 이 금리가 만약 2년 동안 유지된다면? 미국 대통령 임기 4년 중 2년은 사실상 뭘 해보지도 못하고 흘러가 버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인하되고 시장에 유동성이 늘며 투자가 활발해진다고 해도, 그 효과는 바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나중에서야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 시점에 트럼프 다음 대통령이 운 좋게 그 혜택을 받는다면, 대중은 그 대통령에게 박수를 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트럼프는 금리 인하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서 자신의 임기 말에 경제 호황을 터트리려는 것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물론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한 것인데, 이를 인위적으로 앞당기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는 의문입니다. 하지만 한 번 대통령을 해본 경험이 있는 트럼프이고, 경제를 살리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기에, 뭔가 꿍꿍이가 있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2. 불확실성에 미국 주식은 단기적으로 출렁거리겠지만 임기안에 언젠가는 오른다.

트럼프 1기 때도 비슷한 양상이었습니다. 2017년 대통령 당선 이후, 2018년에는 지금의 관세 전쟁과 유사하게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이 나오자 주식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미국 주식은 꾸준히 우상향했습니다.

그때는 취임 후 약 1년쯤 지나 관세 발언을 했지만, 지금은 대통령이 되자마자 관세 전쟁을 시작하겠다고 강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1기 때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트럼프가 말은 세지만, 경제적 측면에서는 상당히 상식적으로 행동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세금 감면 정책도 필요한 조치였고, 다양한 자산에 대한 투자를 유도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저는 작은 정부가 결국 경제성장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세금 감면 정책에는 찬성합니다. 비친환경 정책 부분은 다소 이해가 어렵긴 하지만, 미국에 석유가 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활용해야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친환경 정책은 미국 석유를 다 쓰고 나서 해도 늦지 않다는 생각을 가진 것 같기도 합니다. 이런 면에서 트럼프는 확실히 호불호가 갈리는 인물입니다. 환경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에게는 굳이 좋아할 이유가 없지만, 이러한 정책을 통해 미국 경제가 살아날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합니다.

3. 모두가 욕하고 있지만 뒤에서 트럼프는 웃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말도 안 된다”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도 “미친놈이다”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본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다르게 봅니다.

트럼프는 지금 일부러 ‘오버액션’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세 전쟁 발언 전까지 미국 주식은 너무 올라 있었습니다. 버블이라고 할 정도로 S&P500 지수가 최고점이었죠. 이렇게 가면 연준 입장에서도 금리를 쉽게 내릴 수 없습니다. 자본을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자산에 투자하지 말고 은행에 넣어두라고 금리를 올렸는데, 주식이 이렇게 올라버리면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수도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조정이 한 번 필요했는데, 트럼프가 적절하게 ‘관세 오버액션’을 취하면서 주가가 떨어졌습니다. 트럼프의 의도대로 흘러가고 있다고 봅니다.

지금은 중국을 제외하고 관세 유예를 결정하면서 주가가 어느 정도 회복됐지만, 트럼프는 연준의 반응을 보며 관세를 계속 조절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안 내리냐?"라는 식으로 관세 카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는 한국에 대해 25% 관세를 초반에는 강하게 적용할 수도 있지만, 일부 품목은 2년 안에 협상과 조정을 통해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전략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금리인하가 되는 시기에 명확히 드러날 겁니다. 지금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분들은 3년 4년 뒤에 웃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 사이에 예기치 못한 세계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어쩔 수 없겠지만요.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결국 주식은 우상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