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부의 주식노트8

트럼프의 스마트폰 관세 면제, 예상대로 흘러가는 중 이 글은 100퍼센트 틀릴 수 있는 저의 생각입니다.(4월 14일 가짜뉴스로 밝혀졌습니다. 관세부여는 계속 한답니다)1. 지난 트럼프 예측 글에서 말한 관세 줄이기 시작https://bugabu.tistory.com/entry/%ED%8A%B8%EB%9F%BC%ED%94%84-%EB%8C%80%ED%86%B5%EB%A0%B9-%EB%AC%B4%EC%8A%A8-%EC%83%9D%EA%B0%81%EC%9D%BC%EA%B9%8C-%EB%B6%80%EA%B0%80%EB%B6%80%EC%9D%98-%EB%AF%B8%EA%B5%AD-%EC%A3%BC%EC%8B%9D-%EC%98%88%EC%B8%A1며칠 전에 트럼프 관세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 트럼프는 오버액션을 취하고 있고, 앞으로 관세를 줄여나갈 예정이라고 말.. 2025. 4. 13.
주식을 시작하면서 소비가 달라졌습니다. 1. 치킨 한마리면 주식 하나인데?열심히 일해서 모은 돈, 혹은 용돈으로 받은 돈. 어떻게 들어왔든 돈의 가치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제게 돈은 행복하게 살기 위한 필수 도구입니다. 그래서 그동안은 맛있는 음식에, 예쁜 옷에, 건강을 위한 영양제에 돈을 쓰며 단기적인 행복을 추구하며 살았고, 그렇게 모이는 돈도 거의 없었습니다. 용돈을 받거나 아르바이트로 돈을 벌었을 때,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았는데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보상심리로 계속 소비를 했습니다."나중에 직장 다니면 모으면 되지!" 하고 생각했지만, 막상 그렇게 모을 만큼 돈을 많이 벌 자신도 없었습니다.그러다 20대 중반, 주식책을 읽고 경제를 공부하면서 소비에 대한 생각 자체가 바뀌게 되었습니다.예를 들어 100만원짜리 아이패드를 샀다고 .. 2025. 4. 12.
TSLY 테슬리 2달 투자하고 깨달았습니다. 1. TSLY 혹해서 투자했습니다.2025년 2월, 우연히 옐드맥스(YieldMax) 사의 고배당 커버드콜 ETF들을 알게 됐습니다. 이름도 생소한 TSLY, NVDAY, CONY 알고 보니 각각 테슬라, 엔비디아,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커버드콜 ETF였습니다. 이 세 종목의 공통점은 연간 배당 수익률이 거의 100%에 가까운 고배당이라는 점이었습니다.물론 주가 하락 리스크는 있었지만, 단순 계산상 2년간 배당금만 잘 받아 재투자하면 원금 회복은 가능하다고 생각했고, 이후부터는 매달 들어오는 배당금이 곧 수익이 되는 구조였습니다. 배당금이 매달 꼬박꼬박 들어오니 재미도 있고 수익도 괜찮아 보였습니다.그래서 호기롭게 30만 원으로 TSLY를 매수했습니다. 18주 기준 첫 배당금은 세후 약 12,000원,.. 2025. 4. 12.
부가부 전재산 600만원으로 미국 주식 시작하다 1. 적립식 투자 복리의 마법을 믿으며 시작다수의 책을 읽고 주식 투자에 대한 생각을 전개하면서, 저는 적은 금액이라도 일찍 주식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월에 주식을 시작했을 당시, 저는 배당금의 매력에 이끌려 대부분의 포트폴리오를 배당금을 주는 주식으로 구성했습니다. 물론, 변동성이 큰 주식들도 눈에 띄었지만, 저는 아직 그만큼의 배짱이나 경험, 실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4년 전에 비트코인으로 큰 손실을 경험한 뒤로, 변동성이 큰 주식보다는 안정적인 주식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안전한 주식’은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 차트에서 변동폭이 적고 박스권을 횡보하는 주식으로, 배당금이 10%대인 주식입니다. 둘째, 변동폭이 크지 않으면서 장기적.. 2025. 4. 12.
트럼프 대통령 무슨 생각일까? 부가부의 미국 주식 예측 지금 보시는 글은 100퍼센트 틀릴 수도 있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1. 트럼프는 왜 금리 인하에 목소리를 내고있나?고금리 상태에서는 기업들이 대출을 받기가 부담되기 때문에 성장이 어렵습니다. 금리가 인하되어야 기업이든 정부든 무언가 해볼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집니다. 트럼프는 운이 안 좋게도 금리가 상승한 상태에서 대통령직을 넘겨받게 됩니다. 그런데 이 금리가 만약 2년 동안 유지된다면? 미국 대통령 임기 4년 중 2년은 사실상 뭘 해보지도 못하고 흘러가 버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인하되고 시장에 유동성이 늘며 투자가 활발해진다고 해도, 그 효과는 바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나중에서야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 시점에 트럼프 다음 대통령이 운 좋게 그 혜택을 받는다면, 대중.. 2025. 4. 11.
미국 주식은 할인중, 지금 아니면 언제 살까? 매수 적기인 이유 1. 주식은 쌀 때 사야한다.많은 투자자들이 말합니다. "주식은 쌀 때 사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주식이 '싼' 시점이 언제인지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저는 기업의 실적은 안정적인데, 외부 경제환경이나 시장 심리 악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할 때를 ‘싸다’고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예를 들어,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인상 발언으로 인해 미국 증시, 특히 S&P500 지수가 약 20% 하락했습니다. 이는 코로나 사태 당시 30% 급락 이후 회복한 것과 비슷한 양상입니다. 물론 지금의 하락이 저점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주가가 이 정도로 조정을 받은 상황에서 추가 하락만을 기다리는 것보다는, 분할 매수 전략을 통해 조금씩 접근해 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판단합니다.2. 항상..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