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부의 주식노트

부가부의 매수 종목 2, 아버 리얼리 트러스트 ABR

by bugabu 2025. 4. 29.
반응형

1.생소한 리츠주 아버 리얼리 트러스트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다가구 주택과 상업용 부동산에 대출을 해주는 부동산 금융회사입니다. 주택 담보 대출도 해 주고 대출을 관리해 주며 수수료를 받기도 하며, 직접 투자를 해서 이자 수익을 얻기도 하는 회사입니다. 그리고 리츠주는 수익의 90% 이상 배당해야 법인세를 면제받기 때문에 주가에 비해 배당금이 아주 높은 편에 속합니다. 아무래도 부동산 관련이다 보니 금리와 경기에 따라 주가 변동이 있는 편입니다. 최근 2024년 실적이 발표되고 나서 2023년에 비해서 순이익이 12% 감소가 되었기 때문에 실적 발표 이후에 주가가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실적 발표 이후 12달러 선까지 떨어지고, 관세 전쟁으로 9달러 부근까지 하락을 했다가 회복 후 11달러 선을 유지 중입니다.

2. 꾸준히 올라가는 배당금의 매력,

2015년 분기 배당금 기준 0.15달러에서 2024년 분기 배당금 기준 0.43달러까지 배당금 인상을 꾸준히 해 왔습니다.

2019년도 기준 11달러였는데 2025년에도 11달러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가격이 그대로라서 별로 안 좋은 것 아니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배당금이 거의 2배 가까이 올랐기 때문에 저는 지금이 싸게 사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박스권 형성하면서 배당금이 올라가는 기업은 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시총이 가벼워서 가격이 순간적으로 많이 하락할 때가 있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코로나 사태를 잘 견뎌 온 탄탄한 기업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경제 위기의 순간도 잘 버텨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목표 매입가?

시총도 가볍고 공매도도 가능한 종목이기 때문에 고배당주치고는 주가 변동이 심한 편입니다.

따라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로 형성된 박스권 하단에서 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3달러 이하로만 매집할 예정입니다! 만약에 판다면 박스권 상단인 16달러 이상이 됐을 때 매도를 고려해 볼 만한 것 같습니다. 만약 기업 성장이 괜찮아 보여서 판매하지 않는다면 현금 보유를 하고 있다가 다시 박스권 하단에 왔을 때 매입을 할 것 같습니다.

 

4. 아버 리얼리 트러스트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

포트폴리오에 부동산 관련주를 넣을 때 리얼티 인컴도 굉장히 좋은 선택지이지만, 아버 리얼리 트러스트도 배당금의 매력이 커서 굉장히 좋은 선택지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다세대 주택에 대출을 해 주는 것이기에 앞으로도 수요가 꾸준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에게 집은 필수적인 소재입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 보증과 연계된 대출 상품도 많아서 안정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리츠주 같은 경우 혁신이 일어나기 어려운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 혁신이 필요한 기업은 기술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달려 있지만, 리츠주 같은 경우가 큰 기술이 필요할까? 싶습니다. 기술이라면 금융 상품을 매력적으로 잘 만들어 내는 것 정도입니다. 하지만 그 정도의 기획력은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에 이익이 꾸준히 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실적 하락 발표로 인해서 주가가 10%가량 빠진 것에 대해서 저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0%가 크다면 큰 수치이지만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수치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기업의 이익이 늘어나서 성장을 꾸준하게 하면 물론 좋겠지만, 지금의 수익을 유지한다고 해서 과연 그것이 안 좋은 것인가? 생각을 했을 때는 안 좋은 것이 아니다라고 판단이 섭니다. 일단 배당은 꾸준히 높게 주려고 하고 있고, 주가도 어느 정도 매력적인 수준에 와 있습니다. 배당률 15%를 유지하면서 박스권만 유지하더라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0% 하락했다고 하지만, 그전에 성장한 것을 생각하면 떨어질 때도 있는 법입니다. 10년 동안 잘 성장한 기업이 1년 정도 주춤했다고 해서 주가가 많이 떨어진다는 것은 오히려 좋은 매수 타이밍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고배당주를 좋아하는 저로서 기업이 많이 성장해서 주가가 오르는 것도 좋지만, 지금의 실적을 유지하면서 배당금 유지만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15%의 배당을 꾸준하게 주는 기업도 잘 없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