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부의 주식노트

부가부의 매수 종목 1, 구겐하임 펀드 gof

by bugabu 2025. 4. 21.
반응형

1. 구겐하임 펀드란?

풀네임은 구겐하임 전략적 기회 펀드입니다. 영어로 Guggenheim Strategic Opportunities Fund입니다. 채권과 주식에 동시에 투자하면서 이익을 내는 폐쇄형 펀드입니다. 폐쇄형 펀드는 최초에만 자금을 모집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펀드이지만 주식과 같이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습니다. ETF보다 프리미엄가가 있습니다. 유동성이 낮아 가격 변동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구겐하임이라는 회사가 생소하실 수는 있지만 채권 운용에 강한 회사이고 LA 다저스의 구단주가 구겐하임 펀드의 대표입니다. LA 다저스라는 좋은 야구팀의 구단주이다 보니 앞으로의 성장도 기대가 되는 회사입니다. 구겐하임 펀드는 가격에 따라 대략 10에서 18퍼센트 정도의 배당 수익률이 나옵니다. 현재 2025년 4월 20일 기준 14.3달러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15퍼센트의 배당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소득세 15퍼센트를 빼면 대략 13퍼센트 정도의 배당 수익률입니다. 배당 수익률이 10퍼센트 정도 되는 JEPQ보다도 5퍼센트 더 높은 배당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배당 수익률만 봤을 때는 좋아 보이지만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10년간 백테스팅했을 때 좋은 결과가 있진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박스권 종목이고 10년 이상 월 배당금이 1주에 0.1821달러로 고정이 돼 있다 보니 백테스팅 결과가 안 좋아 보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차트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SCHD와 DIVO와 같은 배당 성장주와 SCHG와 같은 기술 성장주로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는 가정하에 10년 백테스팅을 해봤을 때 구겐하임 펀드는 이 3종목에 비해서 수익률이 낮습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자면 구겐하임 펀드가 원금에 비해 2배였습니다. SCHD와 DIVO는 원금에 비해 2.5배 이상의 실적을 보여줬고 SCHG는 무려 원금에 비해 4배 이상의 실적을 보여줬습니다. 이렇게만 보면 GOF가 굉장히 매력이 없어 보입니다. 당장의 현금 흐름에만 좋은 종목이 아니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박스권 종목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의 시작 시점에서 박스권 고점이었다면 결과가 나쁘게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원금 투자의 시점이 박스권 하단이었다면 결과는 더 좋게 나옵니다. 그리고 박스권 종목이다 보니 일정 수준 이상의 금액일 때 배당금 재투자를 하지 않고 더 매력적인 가격대의 주식을 매입한다면 더욱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합니다.

 

3. 16달러 이상이면 굳이 사야할까?

GOF가 매력적인 가격이 아니라면 오히려 SCHD나 DIVO를 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박스권 하단은 15달러입니다. 더 아래쪽으로 이탈한 경우 10달러 정도로 형성되지만 10달러 부근에서는 강한 매수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4월 하락장에서 12달러 부근까지 떨어지니 강한 매수세를 보이면서 14달러까지 올라왔습니다. 이런 매수세를 봤을 때 확실히 14~16달러는 살 만한 정도이고 14달러 밑으로는 매력적인 가격으로 보입니다. 저 또한 13달러 부근에서 300만 원어치를 매입했는데 정말 만족 중입니다. 당시 13달러였을 때 배당 수익률이 무려 16.5퍼센트 정도였기 때문입니다. 이 수치는 세금을 제외해도 14퍼센트대의 배당 수익률입니다. 구겐하임 펀드라는 종목이 망하지만 않는다면 아주 좋은 투자 수익률이라고 생각합니다. 16달러 이상이라면 세금 제외했을 때 10퍼센트 정도의 배당 수익률이라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그 가격이라면 다른 매력적인 주식을 사는 것이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방어율이 좋은 SCHD나 DIVO 같은 배당 성장주에 투자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채권 주식이다 보니 금리의 영향을 받는 종목인 듯 보입니다. 지금 고금리 시대에 은행에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이런 종목을 매수한다면 매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반응형